이스라엘의 절기는 큰 명절과도 같다.
이스라엘은 7개의 절기가 있다. 그것은 유월절과 무교절 초실절 오순절 나팔절 속죄일 초막절이다.
이 일곱가지의 절기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날은 온 이스라엘 백성들이 한대 모여 여호와께 화제를 드리기 위해 만나기로 약속을 정한 날이기도 하다. 하나님께서 성막이나 성전에서 이스라엘 백성들과 만나기로 약속하신 날이란 의미이다. 성회로 모인 백성들은 제사를 드린 후 제사장들이 낭독하는 율법을 들었다. 해마다 정해지 시기에 7가지 절기를 드렸다고 볼 수 있다.
유월절( 1월 14일에 드려졌다)
=출애굽을 기념함.
애굽의 노예생활에서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절기이다.
무교절(1월 15일~21일)
애굽에서 탈출하기 전 무교병을 먹으며 출애굽을 준비했던 것을 기념하는 절기.
그리고 특히 이 절기동안은 누룩이 없는 빵인 무교병을 먹어야 했다.
그리고 모두들 성회로 모여서 7일동안 여호와께 화제를 드려야 했다.
1월 15일부터 21일까지다. 7일동안 지켜졌다. 특히 첫날과 마지막날은 아무노동도 하지 말고 성회로 모여 화제를 드릴것을 당부했다.
초실절(1월 16일)
보리를 수확 후 첫 이삭을 하나님께 감사하여 드리는 절기이다.
칠칠절(3월 6일)
(오순절 또는 맥추절).
밀의 첫단을 수확한 후 하나님께 감사하여 드리는 절기이다.
초실절로부터 안식일을 7번 지내고 난 후에 50일째 되는 날에 지켜지는 절기이다
나팔절(7월 1일)
이날은 안식일로써 성회의 날이기도 하다. 나팔을 불어 성회로 이스라엘 온 민족이 모이는 절기이다. 이날은 아무 노동도 하지 말며 화제를 드려야 했다.
속죄일(7월 10일)
이날은 전 민족적인 회개일로써 여호와앞에 자신의 죄를 속죄하는 절기이다.
성회로 온 이스라엘 백성들이 모여 화제를 드려야 했다.
또한 스스로 금식을 하여야 했으며 이날에는 아무 노동도 하지 말아야 했다.
이 날은 온 백성이 성회로 모여서 금식하며 회개하는 절기이다. 속죄제를 드리는 날이라고 할 수 있다.
절기 중 유일하게 금식을 하는 절기였다.
초막절(7월 15일~21일)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의 장막 생활을 기억하라는 뜻에서 광야에 장막을 치고 한 주간 동안 절기를 지켰다. 한 주일 동안 집밖에 임시로 초막을 짓고 그 속에서 살았다. 그래서 초막절은 '장막절이라고도 불린다. 출애굽 당시의 광야 생활을 되살리면서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기억하도록 하기 위한 절기인 듯 하다.
첫날에 성회가 있어서 아무 노동도 하지 말며 모여야 했다. 그리고 칠일 동안에 화제를 여호와께 드려야 했다.
*이 이곱가지 절기들은 여호와의 절기이기 때문에 성회로 모두 모여서 여호와께 화제로 드려야 했다. 화제의 종류로는 희생 제물을 번제단에 태워드리는 번제제사와 곡식만으로 드리는 소제제사와 포도주를 번제단 위에 부어드리는 전제제사이다. 각각 그 절기에 여호와께 화제로 드려야 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여호와의 안식일과 헌물, 서원예물, 낙헌예물 외에 우리가 여호와께 드리는 것이었다.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라엘의 불평과 70인 장로 (0) | 2022.08.17 |
---|---|
가나안으로 출발하기 - 1차 인구조사 (0) | 2022.08.17 |
레위기의 5대제사 (0) | 2013.05.06 |
제사법 (0) | 2013.04.30 |
제사장의 임무 (0) | 2013.04.30 |